아이들 밥반찬으로 이만한 게 없죠.
도시락 반찬으로도 일등이고요. 왜냐면 식어도 맛있잖아요.
소고기와 계란의 환상적인 맛의 조합! 소고기 계란 장조림을 맛있게 만드는 법을
제가 알려 드릴게요.
소고기 계란 장조림 맛있게 만드는 법
한눈에 보기!
📌 <필요한 재료>
쇠고기 300g
계란 7~9개
마늘 편으로 자른 것 2스푼 정도
페페로치노 5~7개
진간장 7~8스푼
맛술 1스푼
후추 약간
📌 <만드는 방법>
1. 장조림용 쇠고기를 물에 살짝 씻고 키친타월로 핏물을 제거한다.
2. 냄비에 생수 600mL 정도를 붓고 끓기 시작하면 장조림 고기를 넣고 중 약불에서 가열한다.
3. 맛술 1스푼을 추가한다.
4. 고기가 익는 동안 삶은 계란 7~9개를 준비한다.
5. 고기를 삶는 물이 1/3 정도가 줄어들면 젓가락으로 고기를 찔러서 다 익었는지 확인한다.
6. 페페로치노 5~7개, 마늘 편으로 썬 것 2스푼 정도를 넣고 취향에 따라 후춧가루를 조금 뿌린다.
7. 진간장 7~8스푼을 넣고 3분 정도 졸인다.
8. 불을 끄고 준비해 둔 계란을 넣고 뒤적거려 놓는다.
필요한 재료들
만드는 방법
1. 장조림용 쇠고기를 물에 살짝 씻고 키친타월로 핏물을 제거한다.
2. 냄비에 생수 600mL 정도를 붓고 끓기 시작하면 장조림 고기를 넣고 중 약불에서 가열한다.
3. 맛술 1스푼을 추가한다.
4. 고기가 익는 동안 삶은 계란 7~9개를 준비한다.
계란 껍데기 잘 벗겨지도록 삶는 tip
계란 삶을 때 계란 껍데기 잘 안 벗겨져서 고생하시는 분 계시죠?
우리도 예전에 그랬던 적이 있어요.
소금 넣고 삶아라, 바로 찬물에 헹궈라 등등의 방법들은 크게 효과적이지 않아요.
당연히 찬물에 헹구기는 하잖아요.
계란 껍데기 잘 벗겨지도록 삶는 tip은
반드시 끓는 물에 계란을 넣어야 됩니다.
끓는 물에서 9분!(시간은 불의 종류, 냄비의 종류, 계란 수에 따라 다르니 각 집의 최적의 시간을 찾아보세요.)
꺼낸 계란은 바로 흐르는 찬물에 3분 이상 샤워시킵니다.
5. 고기를 삶는 물이 1/3 정도가 줄어들면 젓가락으로 고기를 찔러서 다 익었는지 확인한다.
젓가락이 중간에 걸리지 않고 거리낌 없이 잘 들어가야 다 익은 겁니다.
6. 페페로치노 5~7개, 마늘 편으로 썬 것 2스푼 정도를 넣고 취향에 따라 후춧가루를 조금 뿌린다.
페페로치노를 넣어야 고기 누린내도 잡아주고 매운맛이 살짝 도는 것이 더 맛있습니다만 조금도 매운 것이 용납되지 않는 아이가 있으시면 생략합니다.
마늘은 통마늘을 넣으셔도 되고 간 마늘을 넣으셔도 됩니다.
통마늘의 경우는 살짝 더 일찍 넣으시면 되고, 간 마늘을 사용하면 국물이 지저분해 보이긴 합니다.
저는 마늘 장기보관 방법의 하나로 마늘을 편으로 썰어서 냉동실에 두었다가 이런 경우에 주로 사용합니다.
7. 진간장 7~8스푼을 넣고 3분 정도 졸인다.
이 과정은 소고기와 진간장의 맛이 잘 어우러지도록 하기 위함입니다.
진간장 양은 남아있는 물의 양, 간장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.
장조림은 살짝 짜도 괜찮습니다. 저장성이 좋아지니까요.
8. 불을 끄고 준비해 둔 계란을 넣고 뒤적거려 놓는다.
계란은 불을 끄고 넣어도 됩니다. 계란을 넣고 오래 졸이게 되면 계란 흰자가 질겨집니다.
이렇게 해두면 일주일은 밑반찬 걱정 없지요?
애들은 장조림에 식탁김 한 봉지만 있어도 한 끼 잘 먹잖아요.
소고기와 계란 중 뭐가 더 빨리 없어질까요?
우리 집 경우는 항상 계란이 먼저 없어지기 때문에 남아있는 소고기 한 번 더 졸여주면서 계란 삶은 것 추가합니다.
소고기 없어도 국물은 남아 있을 테니 계란 삶은 것 추가하셔서 계란 장조림으로 드셔도 돼요.
남은 장조림 국물 버리지 마시라는 말씀.
칼칼하고 시원한 쇠고기 국 맛있게 끓이는 법
우리 집 쇠고기 국이 맛집보다 맛있다고 장담합니다. 쇠고기 국을 칼칼하고 시원하게 끓이기 위해 어떤 비법이 필요할까요? 이건 나중에 며느리한테 꼭 알려줘야 할 비법입니다. 왜냐면 우리 아
abettertoday.tistory.com
여기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.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.
'살림팁 > 요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수한 돼지 두부 찌개 맛있게 끓이는 법 (0) | 2022.11.17 |
---|---|
식빵 카나페 만들기 (2) | 2022.11.17 |
김치 두부전 김치전 맛있게 굽기 (0) | 2022.11.15 |
카프레제 샐러드 만들기 (2) | 2022.11.14 |
간단한 아침 식사 메뉴 14가지 (0) | 2022.11.14 |
댓글